본문 바로가기

이 세상 몽땅 리뷰/생활 속 돈 관리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요건, 2025년 '이것' 바뀌어서 탈락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기초생활수급자, 우리 사회의 가장 중요한 복지 제도 중 하나죠.
그런데 2025년부터 이 자격요건이 크게 바뀌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작년엔 분명 대상자였는데, 바뀐 기준 때문에 올해는 탈락할 수도 있고,
반대로 작년엔 안됐지만, 올해는 새롭게 대상자가 될 수도 있답니다.
내 삶과 직결된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요건, 지금부터 알기 쉽게 총정리해 드릴께요.

1. 가장 중요!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대로 올랐어요 📈

기초생활수급자를 정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선, 바로 '기준 중위소득'이 2025년에는 6.42%로 역대 최대로 인상되었어요.
이 기준선이 올라갔다는 건, "이 정도 소득까지는 국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범위가 더 넓어졌다는 뜻이에요.

2025년 생계급여 선정기준 (기준 중위소득 32%)
- 1인 가구: 월 소득 약 71만원 이하
- 4인 가구: 월 소득 약 195만원 이하

작년에 아쉽게 소득 기준 때문에 탈락하셨던 분들도, 올해는 다시 한번 신청해볼 수 있는 희망이 생긴 거죠!

2. 2025년, 핵심 변경점 3가지 (자동차, 부양의무자) 🚗

소득 기준 외에도, 많은 분들이 억울하게 탈락했던 기준들이 크게 완화되었어요.

  • 자동차 기준 완화: 예전에는 1600cc 미만 낡은 차만 재산에서 빼줬는데, 이제는 2000cc 미만 승용차(10년 이상 또는 500만원 미만)까지는 일반 재산으로 계산해줘서, 자동차 때문에 탈락하는 경우가 크게 줄었어요.
  •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나를 부양할 자녀가 있다는 이유로 탈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 부양의무자의 소득/재산 기준이 연 소득 1.3억원, 재산 12억원으로 크게 완화되었어요.
  • 노인 근로소득 공제 확대: 65세 이상 어르신이 일을 해서 버는 소득에 대한 공제가 확대되어, 일을 하면서도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더 커졌어요.

3. 나는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요? (4대 급여) 🎁

기초생활수급자는 소득 수준에 따라 4가지 종류의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 생계급여 (기준 중위소득 32% 이하): 매달 최저생활비를 현금으로 지원받아요.
- 의료급여 (기준 중위소득 40% 이하): 병원비(본인부담금)를 아주 저렴하게, 혹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요.
- 주거급여 (기준 중위소득 48% 이하): 월세나 집수리 비용을 지원받아요.
- 교육급여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자녀의 학용품비나 교과서비 등 교육활동지원비를 받아요.

4. 추가로 궁금한 점 Q&A 🙋

[Q]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A] 신분증을 가지고, 내가 살고 있는 동네의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해서 신청해야 해요.

[Q] 부양의무자 기준이 완전히 폐지된 거 아닌가요?
[A] 아니요, 생계급여는 아직 부양의무자 기준이 남아있어요. 다만, 수급자 가구에 중증장애인이나 기초연금 수급 노인이 포함된 경우 등 예외적으로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졌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