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2년이..." 전세 만기일이 다가오고 있나요? 🏡
그런데 집주인에게서 "보증금을 5% 올려줘야 연장해줄 수 있어요" 라는 연락을 받았다면, 눈앞이 캄캄해지실꺼에요.
당장 이사 갈 집도 없는데, 올려줄 목돈은 어디서 구해야 할까요?
걱정 마세요! '전세대출 연장'과 '보증금 증액 대출'을 통해 이 위기를 현명하게 해결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께요.

1. 전세대출 연장, 어떻게 하나요? (기본 절차) ✍️
전세대출 연장은 생각보다 간단해요. 보통 만기일 한 달 전쯤, 은행에서 먼저 연락이 올꺼에요.
- 은행에서 온 연장 안내 알림톡이나 문자를 확인해요.
- 은행 앱에 접속해서, 안내에 따라 비대면으로 연장 신청을 해요.
- 변경된 계약 조건(보증금, 계약 기간)이 담긴 '갱신 계약서'를 사진 찍어 제출해요.
- 은행에서 최종 심사 후, 연장이 완료돼요.
가장 중요한 건, 집주인과 미리 재계약에 대한 합의를 하고, '갱신 계약서'를 받아두는 거에요!
2. 보증금 증액, 추가 대출 받는 방법 💰
만약 집주인이 보증금을 올려달라고 했다면, 그 올려줘야 하는 돈(증액분)도 추가로 대출받을 수 있어요.
- 버팀목 대출 이용자라면?: 주택도시기금의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이용하고 있었다면, 같은 상품으로 증액 대출을 받을 수 있어요.
- 은행 대출 이용자라면?: 일반 은행 전세대출을 쓰고 있었다면, 해당 은행의 '전세보증금 증액 대출' 상품을 알아보거나, 아예 더 저렴한 금리의 다른 은행으로 '대환대출'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3. "금리 올려주세요" 은행의 통보, 대처하는 방법 📉
연장 시점에, 은행에서 "금리를 조금 올려야 연장이 가능해요" 라고 통보하는 경우가 있어요. 이럴 때 그냥 받아들이면 안돼요!
지난 2년간 내 신용점수가 올랐거나, 연봉이 올랐다면 당당하게 '금리인하요구권'을 사용해서, 오히려 금리를 깎을 수도 있어요.
또, 요즘같이 대출 금리가 전체적으로 내려가는 시기라면, 다른 은행의 더 싼 대출로 갈아타는 '대환대출'을 알아보는 것이 최고의 협상 카드랍니다.
💡 이리남의 꿀팁
전세 계약을 갱신할 때, 집주인에게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하면 보증금을 최대 5%까지만 올려줄 수 있어요. 법으로 보장된 세입자의 권리이니, 집주인이 5%를 초과하는 과도한 인상을 요구한다면 당당하게 내 권리를 주장하세요!
4. 추가로 궁금한 점 Q&A 🙋
[Q] 이직했는데, 연장이 가능한가요?
[A] 네, 가능해요. 다만, 이직 후 내 소득이 대출 자격 기준을 벗어나지는 않았는지 다시 심사를 받게 돼요. 중소기업을 다니다가 대기업으로 이직했다면, '중기청' 대출은 연장이 안될 수 있어요.
[Q] 묵시적 갱신이 되었는데, 연장 서류는 어떻게 하죠?
[A] 집주인과 별도의 계약서 작성 없이 자동으로 계약이 연장(묵시적 갱신)되었더라도, 은행에는 이 사실을 증명할 서류가 필요해요. 부동산을 통해 간단한 '갱신 계약서'를 다시 작성하는 것이 가장 좋아요.
'이 세상 몽땅 리뷰 > 생활 속 돈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스팟 SEO 초기 설정 가이드, '이것' 모르면 아무도 못 찾아요 (5) | 2025.08.05 |
---|---|
MG+S 하나카드, '이 혜택' 하나로 모든 체크카드 압살합니다 (해외결제, 무조건 적립) (1) | 2025.08.03 |
으뜸효율 가전 환급, '이것' 모르면 30만원 놓칩니다 (2025년 최신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5.08.02 |
가족간 계좌이체, '이 금액'부터 국세청 증여세 조사 들어옵니다 (2025년 최신) (3) | 2025.08.02 |
노란봉투법, '진짜 사장'에게 월급 달라? 내 삶을 바꾸는 2가지 핵심 쟁점 (1) | 2025.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