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세상 몽땅 리뷰/생활 속 돈 관리

IRP 계좌 ETF 추천, "연금계좌에서는 '이것'만 사세요" (2025년 최신)

반응형

연말정산 세액공제 혜택이 좋다고 해서 'IRP(개인형퇴직연금)' 계좌, 일단 만들어두긴 했는데...
막상 어떤 상품을 사야 할지 몰라 '현금성 자산'에만 그대로 쌓아두고 계신가요? 😱
괜찮아요! 10명 중 8명이 똑같은 고민을 하고 있답니다.
오늘은 내 소중한 노후 자금을 2배, 3배로 불려줄 수 있는 IRP 계좌 ETF 포트폴리오를
30대, 40대, 50대 나이대별로 나눠서 알기 쉽게 추천해드릴께요.

1. 시작하기 전, IRP 투자의 '황금룰' 2가지 👑

IRP 계좌는 일반 주식계좌와는 다른, 중요한 규칙 2가지를 기억해야 해요.

  •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 세계 1등 기업에 분산 투자할 것: 우리는 10년, 20년 뒤를 보고 투자하는 거니까, 단기적인 시장의 흔들림에 너무 걱정할 필요가 없어요.
  • '안전자산 30%' 규칙을 지킬 것: IRP 계좌는 법적으로 전체 자산의 30% 이상을 채권이나 예금 같은 '안전자산'으로 채워야만 해요. 주식형 ETF에 100% '몰빵'하는 건 불가능하답니다.

2. 나이대별 IRP 포트폴리오 추천 (30대, 40대, 50대)

'안전자산 30%' 규칙 안에서, 나이에 따라 공격과 수비의 밸런스를 조절해야 해요.

  ① 30대: 공격적인 성장 추구형 (위험자산 70%)

- 미국 S&P 500 ETF (70%): 위험자산 한도를 꽉 채워서, 미국 대표 500개 기업의 성장에 올라타는 전략이에요.
- 단기채권 ETF 또는 정기예금 (30%): 나머지 30%는 안정적인 채권이나 예금으로 채워요.

  ② 40대: 성장과 안정의 균형 추구형 (위험자산 60%)

- 미국 S&P 500 ETF (60%): 주식 비중을 살짝 줄여요.
- 미국 장기채 ETF (40%): 안전자산 비중을 40%로 늘려요. 금리 인하 시기에는 채권 가격이 올라서 추가 수익을 얻을 수도 있어요.

  ③ 50대: 안정적인 현금흐름 준비형 (위험자산 50%)

- 미국 S&P 500 ETF (30%): 성장 자산 비중을 줄이고,
- 미국 고배당주 ETF (20%): 안정적인 배당을 주는 자산을 추가해요.
- 미국 장기채 ETF (50%): 채권 비중을 50%까지 늘려서, 은퇴 후 연금을 수령할 때를 대비하는 전략이에요.

3. 가장 많이 하는 실수: '안전자산 30%'의 함정 😱

많은 분들이 IRP 계좌를 만들면, 자동으로 '현금성 자산'이 안전자산으로 잡혀있다고 착각해요.
하지만 대부분의 증권사에서는 내가 직접 '채권 ETF'나 '정기예금' 상품을 매수해야만 안전자산으로 인정해준답니다.

그냥 현금으로만 두면 위험자산(주식형 ETF)을 70%까지 채워서 살 수 없게 되니, IRP 계좌를 만들었다면 가장 먼저 안전자산부터 30% 채워 넣는 것을 잊지 마세요!

💡 이리남의 꿀팁

'안전자산'이라고 해서 꼭 수익률이 낮은 것만 있는 건 아니에요. TDF(타겟데이트펀드) 중에서 주식 비중이 낮은 안정적인 상품들은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아요. TDF 하나만 사두면 알아서 분산투자를 해주니, 초보자에게는 최고의 선택이 될 수 있답니다.

4. 추가로 궁금한 점 Q&A 🙋

[Q] 연금저축펀드랑 IRP, 둘 다 해야 하나요?
[A] 네! 연말정산 세액공제 한도(연 900만원)를 꽉 채우려면, 연금저축펀드에 600만원, IRP에 300만원을 함께 넣는 것이 가장 좋아요.

[Q] IRP는 중도인출이 안돼서 불편하다던데요?
[A] 맞아요. IRP는 법에서 정한 특별한 사유(무주택자의 주택 구입, 6개월 이상의 요양 등)가 아니면 중도인출이 불가능해요. 그래서 정말 '노후'를 위한 돈이라고 생각하고 넣어야 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