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세상 몽땅 리뷰/생활 속 돈 관리

빌라 전세 계약, '이것' 모르면 아파트보다 10배 위험합니다 (주의사항)

반응형

"아파트보다 넓고 저렴해서 좋은데?"
요즘 아파트 전셋값이 너무 비싸서, 깨끗하고 저렴한 '빌라(다세대주택)' 전세를 알아보는 분들이 많아졌어요.
하지만 잠깐! 빌라 전세는 아파트와 달리, 계약하기 전에 꼼꼼히 확인하지 않으면
내 소중한 전세보증금을 통째로 날릴 수 있는 무서운 위험이 숨어있답니다.
빌라 계약 시, '이것' 모르면 절대 안 되는 핵심 주의사항을 알려드릴께요.

1. 왜 빌라 전세가 더 위험할까요? 🤔

빌라가 아파트보다 위험하다고 하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어요.

  • 시세 파악이 어려워요: 아파트는 몇 동 몇 호가 얼마에 팔렸는지 시세가 투명하지만, 빌라는 집마다 구조와 가격이 다 달라서 '깜깜이'인 경우가 많아요.
  • '깡통전세' 위험이 높아요: 시세를 모르니, 집값과 거의 비슷한 가격으로 전세 계약을 하는 '깡통전세' 사기를 당하기 쉬워요.
  • 집주인이 여러 명인 경우가 많아요: 여러 세대가 사는 '다가구주택'은 건물 전체의 주인이 한 명이라, 다른 세입자의 보증금 액수까지 확인해야 하는 복잡함이 있어요.

2.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할 위험 신호 3가지 🔍

아래 3가지에 해당되는 빌라는, 아무리 좋아 보여도 일단 피하는 게 좋아요.

  1. '근린생활시설' 또는 '불법건축물'로 등록된 집: 원래는 집이 아니라, 사무실이나 가게로 허가받은 곳을 불법으로 개조한 '근생빌라'일 수 있어요. 이런 곳은 전세대출이나 보증보험 가입이 안돼요!
  2. 집주인이 자주 바뀐 집: 1~2년 사이에 집주인이 여러 번 바뀌었다면, 전세 사기를 위해 명의만 넘기는 '명의신탁' 물건일 가능성이 있어요.
  3. 부동산에서 유독 추천하는 신축 빌라: 이제 막 지어진 신축 빌라는 시세가 없다는 점을 이용해서, 분양가와 비슷한 가격으로 전세를 놓는 '동시진행' 사기일 위험이 있어요.

3. '이 서류' 하나로 위험 99% 거르기 (등기부등본) 📄

가장 중요한 서류에요. 계약 전 '등기부등본'을 직접 떼어보고, '을구'에 적힌 '근저당권(집주인의 빚)' 금액과, 나보다 먼저 들어온 다른 세입자들의 보증금을 합친 금액이 집값의 70%를 넘지 않는지 꼭 확인해야 해요.

이 금액이 70%를 훌쩍 넘는다면, 나중에 집이 경매로 넘어갔을 때 내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수도 있는 아주 위험한 집이랍니다.

4. 추가로 궁금한 점 Q&A 🙋

[Q] 빌라도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한가요?
[A] 네, 물론 가능해요! 오히려 빌라일수록, 내 보증금을 지키기 위해 HUG나 HF의 전세보증보험은 선택이 아닌 필수랍니다.

[Q] '근린생활시설'인지 아닌지는 어떻게 확인해요?
[A] '건축물대장' 서류를 떼어보면, '용도' 란에 '주택'이 아닌 '제2종 근린생활시설' 등으로 적혀있어요. 계약 전에 꼭 확인해야 해요.

전세보증보험, HUG와 HF 전격 비교 및 가입조건 (내 보증금 지키는 법)

 

전세보증보험, HUG와 HF 전격 비교 및 가입조건 (내 보증금 지키는 법)

내 전재산과도 같은 소중한 전세보증금, "혹시 떼이면 어떡하지?" 하는 불안감에 밤잠 설치고 계신가요? 😰 뉴스에 나오는 전세사기 이야기가 남 일 같지 않으시죠? 괜찮아요. 내 보증금을 100%

e-ri-nam.com

2025년 전세자금 대출 조건 완벽 정리: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필독 가이드

 

2025년 전세자금 대출 조건 완벽 정리: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필독 가이드

2025년 전세자금 대출 조건 완벽 정리: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필독 가이드2025년 기준으로 전세자금 대출 조건이 달라졌습니다. 신혼부부와 사회초년생에게 유리한 정책이 많지만, 조건을 제대로

e-ri-nam.com

 

반응형